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node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e
- html
- 싸이월드
- react native 타입스크립트
- cyworld
- GitHub
- stencil buffer
- 리액트 네이티브 설치 오류
- c++ 정보은닉
- react native typescript
- 벡터와 리스트의 차이
- react native ios 기기 연결
- react-native
- C++
- c++ using
- react native accessible
- react native
- node.js
- react native mac
- javascript
- CSS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ion
- 리액트 네이티브 맥
- react
- 스탠실 버퍼 사용
- 스탠실 버퍼 시작
- unity stencil buffer
- 스탠실 버퍼 튜토리얼
- Expo
- Today
- Total
목록LANG/C++ (42)
혀니의 이거저거 뿌시기

1.C++의 예외처리 매커니즘 이해: try와 catch그리고 throw의 이해 * try: 예외를 발견하다. * catch: 예외를 잡는다. * throw: 예외를 던진다. try { //예외발생 예상지역 } catch 블록 { //예외처리 코드의 삽입 } 항상 이어서 등장해야 됨. try 블록 내에서 발생하는 예외는 이어서 등장하는 catch블록에 의해 처리된다. throw: 예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문장의 구성에 사용된다. throw expn;

1.클래스 템플릿: 클래스를 템플릿으로 정의한 것 템플릿 클래스: 이를 기반으로 컴파일러가 만들어낸 클래스 이렇게 하면 별도의 클래스를 정의할 필요가 없음. 주의! 템플릿 함수를 호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템플릿의 객체를 생성할 때 과 같은 자료형 정보 생략이 가능? =>NO! 불가 2.클래스 템플릿의 선언과 정의의 분리 템플릿의 멤버함수는 외부에 정의해야 함 요런 식으로...

1. 함수 템플릿은 함수를 만들어 낸다. 함수의 기능은 결정되어 있지만, 자료형은 결정되어 있지 않아서 결정해야 한다. template //T라는 이름을 이용해서 아래의 함수를 템플릿으로 정의한다. T Add(T num1, T num2) { return num1 + num2; } template = template 자동 형변환해주는 것을 볼 수 있음. 한 번 함수가 만들어지면, 그 다음에는 만들어진 함수를 호출할 뿐, 새로운 함수를 만들지는 않음. 12, 13행에서 함수가 만들어지면, 14,15행에서 문장을 컴파일할 때는 앞서 만들어놓은 두 함수를 호출할 뿐임 즉, 함수는 자료형 당 하나만 만들어짐. 자료형을 붙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자료형을 할당해줌 '함수 템플릿': 앞서 보인 다음의 정의와 같은 것 t..
string 클래스 디자인 목적: 문자열 처리 클래스를 직접 구현해봄으로써 연산자가 어떠한 형태로 오버로딩되어있는지 고민 1.표준 string 클래스의 분석 String클래스가 요구하는 것 1) 문자열을 인자로 전달받는 생성자의 정의 string str1 = "I like"; string str2 = "string class"; //위는 아래와 같다. string str1("I like"); string str2("string class"); 2)생성자, 소멸자, 복사 생성자 그리고 대입 연산자의 정의 저장하고자 하는 문자열의 길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문자열 저장을 위한 메모리 공간을 생성자 내에서 동적할당 해야함. 3)결합된 문자열로 초기화된 객체를 반환하는 +연산자의 오버로딩 string str3 = ..

1.표준 string 클래스 알 수 있는 것 ) string객체 간 덧셈 연산 가능
#include namespace mystd { using namespace std; class ostream { public: void operator
교환법칙: A+B의 결과는 B+A의 결과와 같음 연산자를 중심으로 한 피연산자의 위치는 연산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X (Ex) 곱셈연산, 덧셈연산) 이를 위해 오버로딩도 교환법칙이 성립되도록 작성해야 함.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class Point { private: int xpos, ypos; public: Point(int x = 0, int y = 0): xpos(x), ypos(y) {} void ShowPosition() const { cout
닪ㅇ 연산자와 이항 연산자의 가장 큰 차이는 피연산자의 개수 증가 연산자 ++ 감소 연산자 -- ++pos => 멤버함수로 오버로딩 된 경우: pos.operator++(); 전역함수로 오버로딩 된 경우: operator++(pos);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class Point { private: int xpos, ypos; public: Point(int x = 0, int y = 0):xpos(x), ypos(y) {} void ShowPosition() const { cou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