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react native typescript
- CSS
- node
- cyworld
- react-native
- stencil buffer
- react native mac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ion
- 스탠실 버퍼 튜토리얼
- GitHub
- 싸이월드
- html
- react native 타입스크립트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e
- react native
- Expo
- react
- C++
- 벡터와 리스트의 차이
- 스탠실 버퍼 사용
- c++ using
- javascript
- unity stencil buffer
- react native ios 기기 연결
- c++ 정보은닉
- 리액트 네이티브 설치 오류
- node.js
- react native accessible
- 스탠실 버퍼 시작
- 리액트 네이티브 맥
- Today
- Total
목록LANG/C (2)
혀니의 이거저거 뿌시기
0 입력스트림 1 출력스트림 2 오류메시지 출력 스트림 스트림 :개울을 의미 키보드, 마우스같은 출발지에서 프로그램이라는 도착지로 가는 길은 “입력스트림” 프로그램이라는 출발지에서 모니터,프린터와 같은 도착지로 가는 길은 “출력스트림” 따라서 open 으로. hello.txt 를 열었다고 했을 때 이때의 파일 디스크립터 값은 2보다 큰 3부터 시작하는 것이 보통임. 여러 파일이 왔으면 순서대로 3,4,,5… 이런 식으로 번호가 부여됨. 예제 int fd; int fd2; int n; char buf[4]; fd = open("hello.txt",O_RDONLY); fd2 = open("hi.txt",O_RDONLY); if (fd
Typedef struct s_list { void *content; struct s_list *next; // 이렇게 구조체 내에 똑같은 구조체 형식으로 다음 구조체를 가리키면 연결리스트라고 부름. } t_list; Typedef : 구조체의 별칭을 만들어주겠다. struct:구조체를 만들 것이다. 예제 1 Struct Person{ char name[20]; int age; char address[100]; } Int main() { struct Person p1; strcpy(p1.name, “홍길동”); p1.age = 30; strcpy(p1.address, “서울시 용산구 한남동”); printf(“이름 : %s \n”, p1.name); … } 요론 식으로. 예제2 Typedef struct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