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unity stencil buffer
- react-native
- node
- c++ 정보은닉
- cyworld
- react native accessible
- GitHub
- html
- react native
- react native 타입스크립트
- 벡터와 리스트의 차이
- 스탠실 버퍼 사용
- 스탠실 버퍼 튜토리얼
- CSS
- react native ios 기기 연결
- node.js
- stencil buffer
- c++ using
- react native typescript
- C++
- 리액트 네이티브 설치 오류
- react
- Expo
- 리액트 네이티브 맥
- 스탠실 버퍼 시작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e
- 싸이월드
- react native typescript navigation
- javascript
- react native mac
- Today
- Total
혀니의 이거저거 뿌시기
TCP / UDP 본문
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- MangKyu's Diary (tistory.com)
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
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쉽게 말해 데이터의
mangkyu.tistory.com
전송계층: 송신자,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한다.
TCP, UDP : 전송계층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
1.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: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(규약)
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
일반적으로 TCP와 IP를 함께 사용하는데, IP가 데이터의 배달을 처리한다면 TCP는 패킷을 추적 및 관리하게 됨
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로,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함.
- 연결 지향 방식으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함.
- 3 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, 4 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함
-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
- 높은 신뢰성을 보장함 (연속성보다 신뢰성)
- UDP보다 속도가 느림
2.UDP(User Datagram Protocol) :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(규약)
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
(데이터그램: 독립적인 관계를 지니는 패킷 -> 각각의 패킷이 독립되어있음)
-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
-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걸차를 거치지 않음
- UDP 헤더의 checksum 필드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함
- 신뢰성이 낮음 (신뢰성보다 연속성)
- TCP보다 속도가 빠름